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12. 교통환경3

녹색교통진흥지역 특별종합대책 교통환경 관련 교통기술사 문제의 주요 키워드는 탄소중립, 탄소관리, 녹색교통, 지속가능, 미세먼지, 친환경 등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저감 하기 위한 교통대책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, 2015년 파리협정 이후 국내 탄소저감을 위한 정책 및 계획들이 발 빠르게 추진되고 있습니다. 이에 환경관련 문제는 기초적인 이론보다 연구 및 정책적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어 포스팅 하단부에 관련사이트 링크 및 관련자료를 업로드하였습니다. 이번 이론 편에서는 기초적인 환경 관련 내용을 기재하겠습니다. 1. 배출가스 등급제 (자동차 친환경 등급제) 「자동차 배출가스 등급 산정방법에 관한 규정」에 따라 모든 차량을 유종/연식/오염물질의 배출 정도에 따라 1~5등급으로 분류하는 제도 구분 전기차, 수소차.. 2024. 2. 26.
Eco-Drive / Eco-Driving / Eco-Zone 1. 개요 1) Eco-Drive는 친환경성, 경제성, 안전성, 편리성, 에너지 절약을 지향하는 운전습관으로 경제운전으로 통용 2) Eco-Drive 실천을 위한 Eco-Zone 확대 필요 ※ Eco-Zone은 Eco-Drive 실천을 위한 도로환경 및 제반여건 지원 구역 ※ Eco-Drive Zone은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떼고도 관성에 의해 일정속도로 차량을 운행, 연료소모 없이 일정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Fuel-Cut 조건을 갖춘 도로 ※ Eco-Drive는 추진체계 등 녹색교통을 포괄하는 의미 ※ Eco-Driving은 자동차 운전에 한정된 의미 ※ Eco-Pass는 차량의 배기량 또는 연비 등의 기준을 가지고 등급을 구분하며, 혼잡통행료 징수 2. Eco-Drive 1) 필요성 국제사회 기후 변.. 2024. 2. 6.
국토교통 2050 탄소중립 로드맵 1. 개요 1) 탄소중립(Net-Zero)은 사람의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흡수·제거를 통해 2050년 실질 배출량 Zero가 되는 개념 2) 탄소중립 기본법(`22.3 시행)에 따라 수립할 "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"에 반영할 국토교통 정책의 이정표 3) 2050 탄소중립, 2030 국가온실가스 저감 목표(NDC, 40% 저감) 달성을 위한 도로이용자 Eco-Drive 실천, 도로관리자 도로환경 및 제반여건 조성(Eco-Zone 등) 필요 2. 2050 탄소중립 추진배경 1) 국제사회 지구 평균온도 산업화 이전 대비 약 1도 상승 산업화 이전 대비 2도 상승 시 인류에 미치는 피해 심각 기후변화 문제 심각성 인식 (`97 도쿄의정서 채택) 기후변화 억제 노.. 2024. 2. 6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