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기종점 통행량조사2

기·종점 통행량 조사 (답안작성 예) 1. 개요 1) 기·종점 통행량(O/D) 조사는 교통존 간 여객·화물의 통행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로 국가교통조사의 국가교통DB 구축 시 활용 2) 각종 교통정책·계획 및 교통분석, 문제점 도출 등 교통분야 핵심 자료 3) ICT(정보통신기술) 발전과 함께 다양한 교통정보 자료 구축으로 교통 Big Data를 통한 기·종점 통행량조사 신뢰성 향상 필요 2. 기·종점 통행량조사 1) 조사절차 ① 조사 설계 및 준비 : 조사설정 및 방법 결정, 예비조사 ② 자료 수집 : 본조사, 보완조사 ③ 자료 처리 : 조사자료 검토·입력, 집계 및 분석 ④ 자료 관리 : Database 구축 2) 조사의 종류 여객통행실태조사 화물통행실태조사 - 개인/주말 통행실태조사 - 사업체물류현황조사 (광업, 제조업, 도매업) -.. 2024. 2. 5.
국가교통조사 1. 정의 국가기간교통망계획 및 중기투자계획 등 국가교통정책의 합리적인 수립·시행을 위한 국가차원의 교통조사 (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12조) 2. 목적 여객 및 화물의 교통 관련 기초자료 수집·분석 교통수요분석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 교통정책 및 교통사업분석 등에 필요한 자료 집적 공동활용 가능한 국가교통 DB 구축 3. 조사지역 및 범위 1) 조사지역 :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(단, 도서지역 제외) 2) 조사범위 여객 부분 (2021년 기준) : 여객통행실태조사 - 개인통행실태조사 : 전국 인구(5세 이상)의 0.23% - 주말통행실태조사 : 개인통행실태조사의 7% - 장거리통행조사 : 가구통행실태조사에서 장거리 통행을 수행한 1만 가구 - 여객교통시설물 이용실태조사 : 하루 승차인원 150인 .. 2024. 1. 17.
반응형